자주 묻는 질문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CUSTOMER SUPPORT

고객지원

자주 묻는 질문

자주 문의하시는 질문과 답변을 모았습니다.

_DNSYS-3D-LOGO.gif

  • Microsoft windows IoT enterprise LTSC (Windows10 / Windows11…


    Windows IoT Enterprise LTSC는 아래와 같이 시작일로부터 서비스 종료일까지 Microsoft에서 10년간 지원(LTSC) 합니다.
    Windows IoT Enterprise LTSC releases
    (All dates are listed in ISO 8601 format: YYYY‑MM‑DD)
    For more information, See Windows IoT Enterprise LTSC support lifecycle.



    Release Version Build
    Windows 11 IoT Enterprise LTSC 2024 26100
    2024‑10‑01 (Start Date) 2034‑10‑10 (End of Servicing)
    [24H2]


    Windows 10 IoT Enterprise LTSC 2021 19044
    2021‑11‑16 (Start Date) 2032‑01‑13 (End of Servicing)
    [21H2]


    Windows 10 IoT Enterprise LTSC 2019 17763
    2018‑11‑13 (Start Date) 2029‑01‑09 (End of Servicing)
    [1809]


    Windows 10 IoT Enterprise LTSC 2016 14393
    2016‑08‑02 (Start Date) 2026‑10‑13 (End of Servicing)
    [1607]


    Windows 10 IoT Enterprise LTSC 2015 10240
    2015‑07‑29 (Start Date) 2025‑10‑14 (End of Servicing)
    [1507]
  • 정전식 터치모니터 FAQ(자주 묻는 질문들)

    정전식 터치모니터 FAQ(자주 묻는 질문들)




    * PC의 바탕화면에서 정상작동이 되는지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정 프로그램 오동작 시)
    * USB신호처리용 케이블이 컴퓨터와 모니터에 잘 꼽혀있는지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USB신호처리용 케이블이 손상된 경우, 교체하여 장착하여 주십시오 (USB 2.0 DATA 케이블)
    * 다중모니터의 경우 아래 A2 답변을 참고하여 주십시오


    Q1. 터치가 전혀 되지 않습니다.


    A1:
    전원 상태 확인: 모니터가 켜져 있는지, USB/Serial 연결이 정상인지 확인하세요.
    케이블 연결: 터치 케이블(USB 또는 RS232)이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OS 드라이버: Windows/Linux에서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세요.
    정전기 방해 요소: 금속 테이블, 전자파 발생기기 근처일 경우 간섭이 생길 수 있습니다.

    Q2. 터치가 오작동하거나 엉뚱한 위치가 눌립니다.


    A2:
    보호필름/이물질: 화면에 먼지, 수분, 보호필름 등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터치 보정(calibration): 윈도우 제어판 > [Tablet PC 설정] 또는 드라이버 프로그램에서 보정하세요.
    다중모니터(듀얼모니터 등) 이용 시, 터치가 다른화면에서 되는 문제 해결방법 안내 다른 모니터에서 터치가 되는 경우 보정방법 안내
    *다중모니터 (2대이상 : 듀얼모니터/트리플모니터/쿼드드모니터/옥타모니터...)

    ​※ 정전식 모니터의 경우 플러그 앤 플러그 기능으로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USB 연결만으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

    가. 터치 모니터에 터치를 하면 다른 모니터에 터치되는 현상이 발생하나요.
    해결안: 제어판에서 태블릿 PC설정의 디스플레이 구성을 설정해 주세요.

    ​나. 터치 모니터에 터치 포인터의 위치가 다른 위치에 터치되나요.
    해결안 : 제어판에서 태블릿 PC설정의 디스플레이 옵션에서 보정을 설정해 주세요.

    다. 터치 USB케이블 연결이 안 되면 터치 기능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해결안 : 터치 USB케이블 연결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라. 정전식 터치 모니터 설정(다중모니터/멀티모니터 사용) 또는 보정 방법

    1. 작업 표시줄 "검색 아이콘 : 돋보기모양" 에서 "제어판" 입력 후 "태블릿 PC 설정" 을 선택해 주세요.

    2. "디스플레이 구성", "펜 및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십시오. "설정(S)"을 클릭하면 화면 가운데 작은 글씨가 표시됩니다.
    '이 화면을 터치 스크린으로 식별하려면 한 손가락으로 탭하세요.'
    태블릿 PC 스크린이 아닌 경우 키를 눌러 다음 화면으로 이동하십시오.
    도구를 닫으려면 키를 누르십시오.

    3. "이 화면을 터치 스크린으로 식별하려면 한 손가락으로 탭하세요." 를 선택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식별해 주세요
    * 터치모니터가 나올 때까지 엔터를 눌러 해당 터치모니터를 선택 후 터치하여야 합니다.

    4. [디스플레이 옵션]에서 터치모니터( 터치모니터 모델명 )를 선택 후 "보정(C)"을 선택하여 화면에 안내에 따라 보정을 시작해 주세요.


    간섭: 주변 전자기기나 금속판이 간섭을 줄 수 있습니다.
    펌웨어 오류: 제조사 제공 펌웨어/드라이버 업데이트를 시도해 보세요.

    Q3. 일정 구역만 터치가 안 됩니다.


    A3:
    부분적인 하드웨어 불량일 수 있습니다 (센서 손상 또는 패널 결함).
    스크래치/크랙 여부 확인: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 손상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기판 접점 불량: 내부 FPC나 컨트롤러와의 연결 불량일 수 있으므로 서비스 점검이 필요합니다.

    Q4. 손가락으로는 터치가 되지만 장갑 낀 손이나 스타일러스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A4:
    정전식 터치는 정전용량을 인식하는 방식이므로, 일반 장갑이나 비정전성 펜은 인식하지 못합니다.
    전도성 장갑 또는 정전식 스타일러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Q5. 터치 반응이 느리거나 버벅거립니다.


    A5:
    CPU나 시스템 자원 부족: 터치 데이터 처리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OS의 응답 지연: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또는 디바이스 간 충돌 확인 필요.
    USB 전원 문제: 전력 부족 시 인식 속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USB 허브 사용 시)

    Q6. 화면은 정상인데 터치만 안 됩니다.


    A6:
    영상 신호(DP/HDMI)와 터치 신호(USB)는 별개입니다. 터치 신호가 연결되어야 합니다.
    USB 케이블 확인: 다른 포트에 연결하거나 교체 테스트를 해보세요.
    디바이스 관리자에서 인식 여부 확인: ‘HID 터치 디바이스’로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Q7. 정전식 터치가 자꾸 오동작을 합니다. (유령 터치 등)


    A7:
    전기적 간섭: 산업현장이나 상업용 기기에서 접지 불량 또는 전기 노이즈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터치 케이블 차폐 확인: USB 연장 케이블/허브 사용 시 차폐되지 않은 제품은 노이즈 유입 우려.
    습기/온도: 높은 습도나 결로 현상도 유령터치의 원인입니다.

    Q8. 윈도우에서 ‘이 장치가 인식되지 않았습니다’라고 뜹니다.


    A8:
    USB 포트 고장 또는 전원 부족
    USB 케이블 손상
    드라이버 충돌: 장치 관리자에서 문제 디바이스 삭제 후 재부팅해 보세요.
  • DDR2, DD3, DD4, DDR5 메모리 비교 (RAM / MEMORY)

    DDR2, DD3, DD4, DDR5 메모리 비교 (RAM / MEMORY)




    세대표준 클럭 속도 (MHz)데이터 전송 속도(MT/s)대역폭 (GB/s,64bit 기준)전압 (Volt)
    DDR2200–533 MHz400–1066 MT/s3.2–8.5 GB/s1.8 V
    DDR3400–1066 MHz800–2133 MT/s6.4–17.0 GB/s1.5 (1.35) V
    DDR4800–1600 MHz 1600–3200 MT/s12.8–25.6 GB/s 1.2 V
    DDR5 1600–2800 MHz3200–6400 MT/s (최대 8400 MT/s 이상)25.6–51.2 GB/s+1.1 V








  • 컴퓨터 시스템 정보 확인 방법 안내 (CPU/RAM/GPU/STORAGE/OS XP WIN7 WIN8 WIN…

    컴퓨터 시스템 정보 확인 방법 안내 (CPU/RAM/GPU/STORAGE/OS XP WIN7 WIN8 WIN10 WIN11)

    산업용 컴퓨터의 커스텀 제작 관련하여 상담 전, 컴퓨터 시스템의 CPU / RAM /STORAGE 사항에 대하여
    잘 모르시는 경우 아래의 방법으로 확인 하신 후 상담을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공통단축키 안내
    1) 시스템 정보 확인 Win + Pause/Break 시스템 정보 창 열기 (CPU, RAM 등 확인 가능)
    2) 작업 관리자 열기 Ctrl + Shift + Esc 실시간 CPU, 메모리 사용량 확인 가능
    3) 실행창 열기 Win + R 실행 창에서 dxdiag 또는 msinfo32 입력해서 정보 확인
    4) WIN+X 시스템(Y) [윈도우 8 / 10 / 11]

    Windows XP
    1) 단축키: Win + Pause/Break
    2) 시작 > 내 컴퓨터 우클릭 > 속성
    3) Ctrl + Shift + Esc → 성능 탭에서 CPU, RAM 확인

    Windows VISTA / 7
    단축키: Win + Pause/Break
    시작 > 컴퓨터 우클릭 > 속성
    작업 관리자 (Ctrl + Shift + Esc) → 성능 탭

    Windows 8 / 8.1
    1) Win + Pause/Break
    2) Win + X → "시스템"
    3) 작업 관리자: Ctrl + Shift + Esc

    Windows 10 / 11
    1) Win + Pause/Break
    2) WIN + X → "시스템"
    3) 시작 > 설정 > 시스템 > "정보"
    4) 작업 관리자: Ctrl + Shift + Esc → "성능" 탭

    ■ CPU 종류 및 속도
    ■ 설치된 메모리 (RAM)
    ■ 운영 체제 종류 및 버전
    ■ 시스템 종류 (32비트 / 64비트)












  • EFI(ESP) UEFI 관련자료 (Windows 7 32bit / 64bit 지원관련)

    EFI system partition (ESP)
    UEFI (2TB[MBR]이상 GPT 지원)

    EFI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인텔(Intel)社 1990년대 후반에 개발한 새로운 펌웨어 인터페이스
    기존의 BIOS(Basic Input/Output System)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졌음
    초기 형태이고, Itanium 아키텍처용으로 주로 사용
    EFI 1.x 버전까지 존재

    UEFI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EFI의 발전된 표준화 버전입니다.
    UEFI 포럼이라는 컨소시엄(Intel, AMD, Microsoft, Apple 등)이 표준을 관리하고 개발
    EFI 1.x 버전 이후부터는 UEFI 2.x 버전으로 이어짐.

    최근의 PC와 노트북은 UEFI를 사용하고 있음

    윈도우7과 관련하여
    Windows 7 32bit (UEFI 부팅불가)
    Windows 7 64bit (UEFI 부팅지원 / 제한적임)
    - 메인보드에서 UEFI를 지원해야 부팅가능
    - UEFI모드로 BIOS설정 변경해야 부팅가능
    - 부팅디스크가 GPT(GUID Partition Table) 방식으로 포맷되어야 함
    - 설치용 미디어(USB)가 UEFI방식으로 만들어져 있어야 함


    UEFI 모드 (CSM 비활성화) 완전한 UEFI 방식. GPT 디스크 사용, Secure Boot 가능.
    Legacy BIOS 모드 (CSM 활성화+Legacy 선택) 예전 BIOS 방식으로 작동. MBR 디스크 필요.
    UEFI with CSM (혼합) 둘 다 지원. 시스템에 따라 UEFI 또는 BIOS 방식으로 부팅 가능.


    ※ 바이오스에서 화려한 그래픽이 지원된다면 UEFI 지원(혹은 메인보드 지원명시) 메인보드 제조사별 확인필요


  • SODIMM, UDIMM, RDIMM, LRDIMM 메모리 모듈의 종류

    SODIMM, UDIMM, RDIMM, LRDIMM은 메모리 모듈의 종류로 각각의 용도와 특성이 다르며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DIMM : dual in-line memory module

    ◆ SODIMM (Small Outline DIMM)
    소형 모듈로, 주로 노트북, 소형 PC 및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크기가 작아 공간이 제한된 장치에 적합합니다.

    ◆ UDIMM (Unbuffered DIMM)
    버퍼가 없는 메모리 모듈로, 일반적으로 데스크탑 및 워크스테이션에서 사용됩니다.
    가격이 저렴하고 낮은 레이턴시를 제공하지만, 대용량 메모리 지원이 제한적입니다.

    ◆ RDIMM (Registered DIMM)
    레지스터가 포함된 메모리 모듈로, 서버 및 고급 워크스테이션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더 높은 안정성과 대용량 메모리 지원을 제공하지만, UDIMM보다 레이턴시가 약간 증가합니다.

    ◆ LRDIMM (Load-Reduced DIMM)
    RDIMM의 발전형으로, 메모리 모듈의 부하를 줄여 더 많은 용량을 지원합니다.
    낮은 전력 소비와 높은 성능을 제공하여 대규모 데이터 센터 및 고성능 서버에 적합합니다.

    산업용 커스텀 제작 상담
    https://dnsys.co.kr/bbs/board.php?bo_table=inquiry
  • Wireless LAN (Wi-Fi 1 ~ Wi-Fi 7)

    ※ 무선랜 구성은 별매입니다. 주문 전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Wireless LAN (Wi-Fi 1 ~ Wi-Fi 7)

    802.11b 11Mbps (2.4GHz) ...... Wi-Fi 1
    802.11a 54Mbps (5GHz) ...... Wi-Fi 2
    802.11g 54Mbps (2.4GHz) ...... Wi-Fi 3
    802.11n 600Mbps (2.4 / 5GHz) ...... Wi-Fi 4
    802.11ac 6.9Gbps (2.4 / 5GHz) ...... Wi-Fi 5
    802.11ax 9.6Gbps (2.4 / 5GHz) ...... Wi-Fi 6 (6E)
    802.11be 46Gbps (2.4 / 5GHz) ...... Wi-Fi 7 (2024년)


    #wifi1 #wifi2 #wifi3 #wifi4 #wifi5 #wifi6 #wifi7
  • 산업용 터치 스크린 비교 (감압식터치 / 정전식터치 / 적외선터치)

    산업용 터치 스크린 비교 (감압식터치 / 정전식터치 / 적외선터치)








    감압식 / 정전식 / 적외선 터치 방식 비교



    감압식(압력식/저항막방식/Resistive touch)터치









    정전식 (정전용량방식 / Capacitive touch)터치












    적외선 방식 (Infrared / IR )터치








  • FANLESS box Computer(BP시리즈) 크기비교용 조견표

    FANLESS box Computer(BP시리즈) 크기비교용 조견표

  • CPU 세대별OS 지원가능표 (Windows7, 8, 10, 11, Linux)































    세대 OS 비고
    CPU 4th Celeron, Core WINDOWS7 WINDOWS10 --- Linux *Windows7
    CPU 6th Celeron, Core WINDOWS7 WINDOWS10 --- Linux *Windows7
    CPU 8th Celeron, Core WINDOWS 10 WINDOWS11   Linux ---
    CPU

    11th

    12th

    13th

    14th

    15th

    Celeron®, Core™ WINDOWS 10 WINDOWS11   Linux ---


    ※ OS : 윈도우7 적용 시 최대 6세대 CPU까지만 지원됩니다

    ※ OS : 윈도우 XP 적용 시 최대 3세대 CPU까지만 지원됩니다

    ※ OS : 윈도우11 적용 시, 8세대 CPU 이상 지원됩니다


     




  • IP65 제품시리즈 Ingress Protection grade (조견표)



    디앤시스 IP65 전면방수 터치 모니터 & 컴퓨터 시리즈 등급안내도
  • 산업용 팬리스컴퓨터 사양관련 (조견표)






  • 산업용 터치모니터 사이즈, 비율, 해상도 (조견표)






    XGA 1024×768 4:3
    WXGA 1280×800 16:10
    SXGA 1280×1024 5:4
    FHD 1920×1080 16:9

    디앤시스 IP65 등급 Front waterproof 컴퓨터&모니터 시리즈


  • 산업용 패널컴퓨터 사이즈, 비율, 해상도 (조견표)



    XGA 1024×768 4:3
    WXGA 1280×800 16:10
    SXGA 1280×1024 5:4
    FHD 1920×1080 16:9


  • 패널마운트, 월마운트, 오픈프레임 시리즈 차이점 비교 안내

    패널마운트(Panel mount) / 월마운트 (Wall mount) / 오픈프레임 (Openframe) - 패널컴퓨터&모니터 시리즈

    패널컴퓨터,터치모니터 등의 후면부에는 국제규격의 베사홀(VESA 규격의 75x75mm, 100x100mm 의 Hole)이 준비되어 있어서 해당 제품의 설치 및 활용, 장착 등에 알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패널마운트 제품은 매립에 적합하도록 장착편의를 위해 끼워넣어 장착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 있고 동시에 벽면부착도(월마운트) 가능합니다. 설치후 깔끔한 마감처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키오스크 제품의 매립장착 (Built-in / Inset) 시에도 해당 제품으로 적용처리 됩니다.

    오픈프레임 제품은 매립적용의 제품으로 전면부가 덮개가 없는 형태의 제품으로 벽면 혹은 제품을 타공하여 홀을 만들어 매립장착 후 전면부를 외장 마감소재를 이용하여(금속/나무/플라스틱 등) 장착합니다.

    월마운트 제품은 벽면장착을 기본으로 하여 제품 두께만큼 돌출되는 형상을 나타냅니다.

    설치하시는 장소의 특성에 알맞은 제품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인천광역시 부평구 새벌로 15 (우21314)
TEL 032-512-5480FAX : 032-512-5481E-MAIL : dnsys@dnsys.co.kr
Copyright © DNSYS Corp. All rights reserved.